1. 깊은 우식의 치료
1) 간접 치수복조술
병소에 심한 우식을 제거하고 미생물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로 와동을 일정기간 막아주는 술식을 간접 치수복조술이라 하며, 치질과 치수생활력의 보존, 치아우식증의 진행억제, 이차상아질형성 등의 장점이 있다. 적응증은 자극이 가해지거나 저작 시 동통을 느끼는 것 외에 자발통의 병력이 없고, 치아동요도가 없으며, 방사선상에서 치근단 병변이 없는 경우 등이다.
2. 생활치수 치료
1) 직접 치수복조술
외상이나 와동형성 중에 우발적으로 생긴 작은 크기의 치수노출이나 우식의 진행에 의한 바늘구멍 정도의 작은 크기의 치수노출이 있고 주위에 건전한 상아질이 있을 경우에 사용하는 치수의 생활력과 기능을 유지시키는 술식이다.
적응증은 미성숙 영구치, 직경 1mm 이내의 작은 치수노출, 와동형성 시 기계적인 노출 등이 있다.
2) 치수절단술
비정상적인 치관부 치수조직을 제거하고 정상적인 치수조직이 남아 있는 치근부 치수조직에서 치유가 일어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술식이다.
절단된 치수조직의 상부에 가하는 약제에 따라 calcium hydroxide pulpotomy와 formocresol pulppotomy로 나눌 수 있다.
<적응증>
기계적 노출 또는 외상으로 인해 치수노출된 유치나 영구치
자발통의 병력이 없는 경우
타진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
치수절단술 후 수복치료가 가능한 경우
치근단, 치근단 주위 및 치근 분지부에 병변이 없는 경우
치근이 1/3 이하가 흡수된 경우
-수산화칼슘을 이용한 치수절단술
생활력을 가지고 있는 미성숙 영구치의 기계적 치수노출 및 외상에 의한 치수 노출 시에 사용되고 있다. 치근형성은 완료되지 않았으나 치근부 치수조직은 정상인 경우에 치관부 치수만 제거하고 노출된 치근부 치수에 수산화칼슘을 도포하여, 치근부 치수의 생활력을 유지시켜 정상적으로 치근단이 발육하도록 유도하는 술식이다. 생리적 치근단형성술이라고도 한다.
-FC를 이용한 치수절단술
주로 유치에서 치수노출 시 사용되는 술식이며 약제로는 1:5로 희석시킨 Buckley's formocresol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1:5로 희석하는 방법은 glycerine과 물을 3:1의 비율로 완전히 혼합한 후 이 용액에 Buckley's formocresol을 추가하여 혼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품화된 형태는 19% formaldehyde와 35% cresol을 15% glycerine과 water에 혼합하는 것이다.
Formocresol은 치수조직 고정 및 살균작용, 세포독성 효과가 있다. 또한 부식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치은조직 및 협점막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3. 치수절제술
실활된 유치의 치관부와 치근부의 괴사된 치수조직을 완전히 제거하는 술실을 치수절제술이라 한다. 유치에서의 치수절제술은 근관의 다양한 형태 때문에 근관치료가 어려우므로 근관 형태가 치료에 적합하고 정상적인 지지조직을 보이는 경우에 가능하다.
<적응증>
치수의 감염이 치근관까지 파급된 경우
치수절단술 시 지혈이 불가능한 경우
치근흡수와 분지부 병변이 없는 경우
4. 치근단형성술
비가역적으로 이환된 괴사성 치수와 개방성 근관을 가진 미성숙 영구치에서 치수강과 근관의 괴사된 치수를 모두 제거한 후 수산화칼슘제제를 사용하여 치근단의 형성을 유도하는 술식을 치근단형성술이라 한다.
치근단이 폐쇄되지 않아 넓은 치근단을 가진 실활된 미성숙 영구치가 적응증이 된다.
5. 치수치료에 이용되는 약제
1) 산화아연유지놀
산화아연유지놀은 생활력 있는 조직에 직접 접촉된 경우 만성 염증, 농양형성, 액화괴사를 일으킬 수 있어 직접 치수복조제로는 추천되지 않는다. 산화아연은 칼슘염의 골형성을 자극하지 못한다. 치수진정작용이 있다.
2) 수산화칼슘
강한 알칼리성으로 생활치수 조직에 접촉되었을 때 부식성이 있어 치수의 표재성 괴사를 일으킨다. 수산화칼슘의 이러한 자극성은 석회화층 형성을 촉진하는 성질이 있어 직접 치수복조술과 영구치의 치수절단술에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약제로 이차상아질형성과 항세균효과를 가진다.
3) Formalin을 포함한 약제
이 약제를 유치의 치수치료에 사용하는 이유는 치수조직의 치유를 촉진시키는 능력보다 살균력과 치수조직을 고정시키는 능력 때문이다. 유치치수절단술 시 1:5로 희석한 buckley's formocresol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강한 독성과 부식성이 있따.
4) 글루타알데하이드
글루타알데하이드는 치수절단술 시 사용하는 복조제로서 최근에 주목을 받고 있는 약제이며, formocresol과 비교 시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formaldehyde는 가역적이지만 글루타알데하이드의 반응을 비가역적이다.
formaldehyde는 작은 분자이므로 근단공을 통과하지만 글루타알데하이드는 큰 분자여서 근단공을 통과하지 못한다.
formaldehyde는 조직 고정 시 긴 시간이 필요하나 글루타알데하이드는 조직을 즉시 고정시킨다.
5)페릭 설페이드
황산 제2철로 수렴제 및 지혈제로 사용되고 있다.
6) MTA
생체친화성이 좋은 시멘트로 수분이 있어도 밀폐성이 좋아 근관치료시 발생한 천공부위의 수복과 치근단 역충전, 직접 치수복조술 등에 사용한다. 긴 경화시간과 현재 고가의 재료라는 것이 단점이다.
'치과위생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아치과학-유치열과 혼합치열기의 교합 (0) | 2023.02.26 |
---|---|
소아치과학-외과적 치료 (0) | 2023.02.18 |
소아치과학-맹출장애 (0) | 2023.02.18 |
소아치과학-치아의 발육장애(2) (0) | 2023.02.17 |
소아치과학-치아의 발육장애(1) (0) | 2023.0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