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의 발육장애2 소아치과학-치아의 발육장애(2) 1. 치아 구조의 이상 1)법랑질 형성부전증 법랑질 형성부전증은 유전적 법랑질 결손을 말하며, 유병률은 14,000몀ㅇ당 1명에서 4,000명당 1명 등으로 보고되고 있다. 치아의 발육과정 중 amelogenin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정상적인 법랑질 기질의 침착이 방해를 받아 발생한다. 법랑질 형성부전증이 다른 법랑질 결손과 구분되는 특징은 명확한 유전양상을 나타내며 전신질환, 대사장애, 환경 등과 무관하게 발생한다는 점이다. 임상적으로 치질의 이상은 법랑질에만 국한되며, 상아질과 백악질, 치수 등은 정상이다. 방사선 사진에서 치수강과 치근관 그리고 치근의 형태는 정상이다. 유전자의 형태, 치질의 결손양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형성부전증 치아의 발생과정 중 조직분화기에 불.. 2023. 2. 17. 소아치과학-치아의 발육장애(1) 1. 치아 수의 이상 -선천성 치아결손 선천적 치아결손은 치아 수가 선천적으로 부족한 경우이다. 가족적 유전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 유병률은 1.5~10%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영구치 중 선천적 결손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치아는 제3대구치이며, 다음으로 하악 제2소구치와 상악 측절치 순이고, 다음이 상악 제2소구치, 하악 측절치 순이며, 양측성 혹은 편측성으로 발생한다. 또한 유치의 결손과 후속 영구치의 결손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외배엽 이형성증은 치아가 없는 무치증 혹은 다수의 치아가 결손된 부분무치증을 보이는 전형적인 증후군이다. 외배엽 이형성증과 연관된 부분무치증환자는 특징적으로 전치가 원추형이며 교두정이 가늘고 뾰족하다는 소견을 보인다. -과잉치 정상 치판이 .. 2023. 2. 1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