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치과보철학3

치과보철학-총의치 1. 총의치의 장착 치아가 전혀 없는 환자가 총의치를 장착하면 음식을 씹을 수 있고, 외모가 좋아지고, 발음이 쉬우며, 악골의 흡수가 진행되지 않을 것이라 기대하게 된다. 총의치를 처음으로 끼워보는 환자는 새로운 의치 장착으로 구강 내 환경이 변했기 때문에 처음에는 어느 정도 위화감이 있을 수 있음을 설명하고 앞으로 조정을 거듭함에 따라 서서히 익숙해지기 때문에 지시에 따라 사용하도록 설명한다. 2. 총의치의 점검과 조정 총의치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기능회복의 한계에 대해 교육한다. 충분히 조정한 의치일지라도 저작 등에 의해 의치상 아래나 의치상 변연부의 점막에 통증이나 궤양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실제로 의치가 가능할 때의 의치주위 조직의 움직임이나 의치상 아래 점막에 대한 압력 분배를 진료실에.. 2023. 2. 17.
치과보철학-crown Crown의 분류 *전부 금속관 1. 전부금속관의 장, 단점 전부금속관은 심미적 기대를 하지 않는 구치부 수복 시 치관 외면 전부를 금속으로 피개해서 삭제된 모든 면에서 유지력을 얻을 수 있는 금속관이다. 단일치관이나 가공의치 또는 국소의치의 지대치로 사용한다. 주조를 통해 제작되는 전부금속관은 대구치와 하악 제2소구치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재를 이용한 금관보다 치질을 적게 삭제하며, 제작이 간단하고 파절되지 않기 때문에 교합력을 많이 받는 부위에 적합하다. -장점 치아 피개면이 넓으므로 탈락에 저항하는 힘이 좋다. 치아형태의 재현성이 우수하다. 교합면을 완전히 수복하므로 교합의 회복이 우수하다. 시술과정이나 기공과정이 다른 보철물에 비해 쉽고 간단하다. 치경부의 적합도가 좋다. -단점 금속이 노출.. 2023. 2. 17.
치과보철학-치과보철물 1. 치과보철물의 종류 치과보철물은 치관의 붕괴나 형태이상, 다양한 형태의 치아 상실, 악안면의 부분적 결손 등에 적용된다. 치과보철물의 종류에는 네 가지가 있는데, 인공 대체물을 이용하여 치아를 수복하는 금관과 결손치아를 회복시키는 가공의치 등의 고정성 보철물과 국소의치와 총의치 등의 가철성 보철물, 그리고 임플란트 보철물과 악안면부의 결손을 수복하는 악안면 보철물이 있다. 2. 치과보철물의 형식 -고정성 보철물 고정성 보철물은 치아를 보존적인 방법으로 유지할 수 없거나 하나 이상의 치아가 상실된 경우에 치아를 삭제하여 고정성 수복물로 회복시키는 것으로 환자 스스로 구강 내에 삽입하거나 제거할 수 없는 보철물이다. -가철성 보철물 가철성 보철물에는 국소의치와 총의치가 있다. 의치는 치료목적에 따라 즉시.. 2023. 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