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치주질환2

치주학-치주질환 치주염은 치은을 포함한 치주조직 전체를 침범하는 염증성 질환으로서, 그 중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만성 치주염이다. 교합외상에 의해 치주조직이 파괴되는 현상도 여기에 포함한다. 치주질환의 분류 치주질환은 그 종류와 양상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그 분류법이 아직 통일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학자나 학회, 연구기관마다 서로 차이가 나기도 한다. 최근 1999년 미국 치주학회 국제회의에서 최신의 임상적, 과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치주질환을 만성 치주염, 급진성 치주염, 전신질환과 관련된 치주염의 3가지 형태로 단순화하였다. 1. 만성 치주염(Chronic periodontitis) 가장 흔하고 대표적인 치주질환으로 이전에는 주로 성인형 치주염으로 표현되었으며, 치주치료의 주요 대상이다. 청년기에 발생하여 중.장년.. 2023. 2. 16.
치주학- 치주질환 1. 치은염의 임상적 양상 치은염은 가장 흔한 치은질환의 일종으로 치주조직의 기능적 단위인 치은에 미치는 염증과정으로 치은의 색조 변화, 크기의 형태, 견고성, 출혈성향, 동통 등의 체계적인 순서에 의해 임상적인 특징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치은염은 진행속도와 기간에 따라 급성, 이급성, 만성으로 분류하고 염증의 범위에 따라 국소적, 전반적으로 침범부위에 따라 유두형, 변연형, 산재형으로 그 진단명을 세분하여 명명하며 이들은 복합적으로 명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치은 출혈 치은염의 초기 증상으로서, 탐침검사에 쉽게 출혈이 된다. 다른 증상들에 비하여 초기에 나타나기 때문에 치은염의 초기 진단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치은출혈의 가장 큰 원인은 치태와 치석과 같은 국소적 요인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 2023. 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