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치주학8

치주학-임플란트 상실된 치아를 수복하여 심미적, 기능성, 정신적 회복을 얻기 위한 노력은 인류의 문명이 싹틀 때부터 시작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임플란트 시술에 대한 역사적 배경은 다른 분야에서의 기록처럼 고대 중국의 황하강 문명시절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B.C. 2000년 이집트에서는 결손치아를 수복하기 위해 조각된 상아, 동물의 치아 혹은 노예의 치아를 사용했다는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1. 임플란트와 주위조직과의 관계 -임플란트와 골과의 관계 골과 임플란트 표면과의 결합은 섬유성 융합, 섬유-골 융합, 골 융합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골 융합(osseo-integration)만이 직접적인 골과 임플란트 간의 접촉이며 구강 내 저작압 등에 견딜 수 있게 된다. 골 융합이란 보철물을 지지할 수 있는.. 2023. 2. 16.
치주학-치주질환 치주염은 치은을 포함한 치주조직 전체를 침범하는 염증성 질환으로서, 그 중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만성 치주염이다. 교합외상에 의해 치주조직이 파괴되는 현상도 여기에 포함한다. 치주질환의 분류 치주질환은 그 종류와 양상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그 분류법이 아직 통일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학자나 학회, 연구기관마다 서로 차이가 나기도 한다. 최근 1999년 미국 치주학회 국제회의에서 최신의 임상적, 과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치주질환을 만성 치주염, 급진성 치주염, 전신질환과 관련된 치주염의 3가지 형태로 단순화하였다. 1. 만성 치주염(Chronic periodontitis) 가장 흔하고 대표적인 치주질환으로 이전에는 주로 성인형 치주염으로 표현되었으며, 치주치료의 주요 대상이다. 청년기에 발생하여 중.장년.. 2023. 2. 16.
치주학- 치주질환 1. 치은염의 임상적 양상 치은염은 가장 흔한 치은질환의 일종으로 치주조직의 기능적 단위인 치은에 미치는 염증과정으로 치은의 색조 변화, 크기의 형태, 견고성, 출혈성향, 동통 등의 체계적인 순서에 의해 임상적인 특징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치은염은 진행속도와 기간에 따라 급성, 이급성, 만성으로 분류하고 염증의 범위에 따라 국소적, 전반적으로 침범부위에 따라 유두형, 변연형, 산재형으로 그 진단명을 세분하여 명명하며 이들은 복합적으로 명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치은 출혈 치은염의 초기 증상으로서, 탐침검사에 쉽게 출혈이 된다. 다른 증상들에 비하여 초기에 나타나기 때문에 치은염의 초기 진단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치은출혈의 가장 큰 원인은 치태와 치석과 같은 국소적 요인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 2023. 2. 16.
치주학-치주조직의 질환 치주질환은 치아를 지지하는 치아주위조직에 발생하는 모든 질환들을 뜻하는 것으로서 치아우식증, 부정교합과 더불어 가장 대표적이고 보편적인 3대 치과질환중의 하나이다. 치주질환은 그 발생부위에 따라 크게 치은지로한과 치주질환으로 대별한다. 치은질환은 그 발생이 치은에만 국한되기 때문에 치아상실을 초래하지는 않는다. 이에 반하여 치주지로한은 치은을 포함한 모든 치주조직의 파괴를 동반하기 때문에 질환을 방치할 경우, 결국 치주조직은 물론이고 궁극적으로는 치아까지 상실하게 된다. 치은질환 가운데서도 가장 발생빈도가 높아 임상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질환은 치태와 관련한 만성 치은염이고, 치주질환의 경우에도 역시 치태와 연관된 만성 치주염이 가장 대표적인 질환으로서, 치과위생사와 치과의사가 임상에서 가장 많이 .. 2023. 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