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치아 구조의 이상
1)법랑질 형성부전증
법랑질 형성부전증은 유전적 법랑질 결손을 말하며, 유병률은 14,000몀ㅇ당 1명에서 4,000명당 1명 등으로 보고되고 있다. 치아의 발육과정 중 amelogenin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정상적인 법랑질 기질의 침착이 방해를 받아 발생한다. 법랑질 형성부전증이 다른 법랑질 결손과 구분되는 특징은 명확한 유전양상을 나타내며 전신질환, 대사장애, 환경 등과 무관하게 발생한다는 점이다.
임상적으로 치질의 이상은 법랑질에만 국한되며, 상아질과 백악질, 치수 등은 정상이다. 방사선 사진에서 치수강과 치근관 그리고 치근의 형태는 정상이다.
유전자의 형태, 치질의 결손양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형성부전증
치아의 발생과정 중 조직분화기에 불충분한 양의 법랑질이 형성된 것으로 내법랑상피가 없어 법랑모세포로의 세포 분화가 일어나지 않아 발생한다. 유치, 영구치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이환된 치아는 크기가 작고 인접치와 접촉이 되지 않는다. 법랑질이 매우 얇거나 없어서 열 자극에 매우 민감하다. 형성된 법랑질은 기질의 석회화가 계속적으로 일어나 단단하지만 양이 적어 거칠고 소와가 형성되어 있다.
-성숙부전형
유전적으로 법랑질 기질의 침착이 불충분하여 발생한 형태로 이환된 치아는 법랑질의 두께는 정상적이지만 표면이 탁한 황갈색을 나타낸다. 교합면 쪽의 법랑질이 쉽게 깨져 나간다.
-석회화부전형
기질은 정상적으로 형성되지만 석회화기에 장애를 받아 석회화가 불충분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법랑질은 연하고 쉽게 파괴된다. 이환된 치아는 지연된 맹출 양상을 보이며 맹출 직후 법랑질이 떨어져 나감으로써 하방의 상아질이 노출되고 표면은 거칠며 쉽게 착색되어 비심미적이다.
2) 환경적 요인에 의한 법랑질 저형성증과 저석회화증
법랑질 형성단계 중 기질형성기에 전신적, 국소적 영향을 받아 기질형성의 장애가 발생한 경우를 법랑질 저형성증이라 하며, 형성된 기질의 석회화기에 전신적, 국소적 영향을 받아 석회화가 불충분하게 일어난 경우를 법랑질 저석회화증이라 한다. 이러한 장애는 그 당시 법랑질의 기질형성 및 석회화 단계에 있는 모든 치아에 나타나게 되며, 따라서 국소적, 전신적인 장애가 존재하였던 시기와 기간 등에 일치하여 나타나므로 치아 자체의 결손뿐만 아니라 전신병력을 추정할 수 있는 요소로서 중요한 진단학적 의미를 갖는다.
법랑질 저형성증이 경미한 경우 법랑질 표면에 소와가 나타나며, 장기간 장애를 받은 경우 수평선상의 구 형태읭 결함이 나타나고, 심한 경우 불규칙하고 넓은 면적의 법랑질 결손부위가 나타나거나 불완전한 법랑질이 형성된다. 유치와 영구치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유치열기에서 발생할 경우 영구치보다는 심하지 않다.
법랑질 저형성증을 야기하는 후천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다.
-영양결핍 : 비타민 A, B, C, D와 칼슘, 인 등의 부족
-뇌손상 : 뇌성마비
-신장증후군
-과민증
-국소적 감염과 외상 : Turner's tooth
-구순열, 구개열
-방사선 과다노출 : 타액선 기능 변화에 연관되어 다발성 치아우식증 발생
-태아풍진
-불소 과다섭취 : 반점치
-선천성 매독
-법랑질 형성부전증
3) 국소적 법랑질 저형성증
유치의 치근단까지 감염이 확산되어 발육 중인 후속 영구치으이 치배에 영향을 주어 영구치의 치관에 법랑질 저형성이나 석회화에 장애를 일으킨 경우를 터너치아라고 한다.
또한 외상으로 인하여 유치가 치근단 쪽으로 변위됨으로써 하방 영구치의 기질형성 또는 석회화에 영향을 주어 영구전치 순면의 법랑질 결손을 야기하기도 한다.
4) 상아질 형성부전증
상아질 형성부전증은 유전성으로 단순 상염색체성 우성형질을 따르며 약 1/8,000명의 유병률을 보인다. 크게 두 가지 형태로 구분하며, 치아에 단독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유전성 유백색 상아질이라 하며, 골형성부전증과 같이 나타나는 경우를 상아질 형성부전증이라고 한다. 상아질 형성부전증이 있는 유치나 영구치의 치관은 적갈색이나 유백색을 보이며, 유치열이 완성되어도 법랑질은 전치의 절치연과 구치의 교합면에서부터 곧 파괴된다. 노출된 연화 상아질은 급속도로 마모되어 치은연과 일치되기도 한다.
방사선 사진에서 치아는 가느다란 치관과 둥그런 치관의 형태를 보이고, 치수강 및 치근관은 초기에는 매우 크지만 빠르게 좁아져서 폐쇄되며, 치근관은 작고 리본 모양이다.
치료는 어려운데, 유구치는 기성관을 장착하여 치아가 심하게 마모되는 것을 예방하고, 대구치는 주조금관을 해주어 기능적, 심미적으로 치아를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치부는 laminate veneer 수복을 해준다. 치근단 부위 병소와 치근파절이 있는 치아는 발거해야 하나 부러지기 쉬우므로 쉽지않다.
5) 법랑질과 상아질 무형성증
법랑질 형성부전과 상아질 형성부전이 모두 나타난 치아로서 치아형성부전증이라고도 한다. 유치는 법랑질이 없고 상아질이 매끈하게 마모되어 적갈색을 띠며 치수노출이나 치수변성으로 인해 치근단 병소를 흔히 보인다.
6) 각상치아
각상치아란 법랑질과 상아질이 조개껍데기같이 매우 얇고 상대적으로 치수강과 치근관이 크며 치근이 매우 짧아서 유치는 조기탈락될 수 있다. 일종의 상아질 형성부전증으로 정상적인 상아질 형성이 매우 얇은 층으로 한정되어 이루어져 있다.
'치과위생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아치과학-치수의 치료 (0) | 2023.02.18 |
---|---|
소아치과학-맹출장애 (0) | 2023.02.18 |
소아치과학-치아의 발육장애(1) (0) | 2023.02.17 |
소아치과학-치아의 발육과 맹출 (0) | 2023.02.17 |
소아치과학-소아,청소년치과학 (0) | 2023.0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