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치과보철물의 종류
치과보철물은 치관의 붕괴나 형태이상, 다양한 형태의 치아 상실, 악안면의 부분적 결손 등에 적용된다. 치과보철물의 종류에는 네 가지가 있는데, 인공 대체물을 이용하여 치아를 수복하는 금관과 결손치아를 회복시키는 가공의치 등의 고정성 보철물과 국소의치와 총의치 등의 가철성 보철물, 그리고 임플란트 보철물과 악안면부의 결손을 수복하는 악안면 보철물이 있다.
2. 치과보철물의 형식
-고정성 보철물
고정성 보철물은 치아를 보존적인 방법으로 유지할 수 없거나 하나 이상의 치아가 상실된 경우에 치아를 삭제하여 고정성 수복물로 회복시키는 것으로 환자 스스로 구강 내에 삽입하거나 제거할 수 없는 보철물이다.
-가철성 보철물
가철성 보철물에는 국소의치와 총의치가 있다. 의치는 치료목적에 따라 즉시의치, 임시의치, 치료의치 등이 있으며 고성에 따라 피개의치와 이식의치도 시술되고 있다.
-치과 임플란트
임플란트란 치아가 상실된 부위에 티타늄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진 인공 치근을 심어주고 그 위에 치관이나 의치를 부착시켜 치아의 기능을 대신하는 것이다.
-악안면 보철
인공 대체물질을 이용하여 악안면 결손 부위를 수복하는 보철물이다.
3. 치과보철물의 종류별 적응증
-고정성 보철물
금관 : 금관이란 치아우식증 또는 치관파절로 인하여 치질의 결손이 큰 경우 수복하려는 개개 치아의 해부학적 치관을 전부 덮어서 원래의 형태와 기능을 하게 하는 고정성 보철장치이다. 전치와 소구치는 심미성을 고려해야 하는 부위로 자연치와 색조가 유사한 도재를 이용한 도재관이 적용된다. 도재관은 금속의 metal coping 위에 도재를 융합시킨 금속도재관과 도재관만을 이용하는 전부도재관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 구치부는 기능적인 면을 고려하여 저작력에 따라 더욱 강한 금속을 이용하여 치관의 전부를 덮어주는 전부피개치관과 치관의 일부만을 덮은 부분피개치관이 있다. 금관의 제작과정은 지대치 형성, 인상채득, 석고모형 제작, 납형 형성, 매몰, 주조, 시적, 조정, 접착의 순으로 진행된다.
심미보철 : 심미보철은 자연치아와 색조 및 투명감이 유사한 도재를 이용하여 수복되는 보철물로 변색된 치아, 사이가 벌어진 치아, 치아 배열이 불규칙한 치아 등으로 인해 심미적이지 않은 경우에 시술한다. 주로 도재를 이용한 금속도재관과 전부도재관, 도재 라미네이트 베니다, collarless crown 등이 시술되고 있다.
금속도재관은 금속 coping에 도재를 접착시켜 심미성과 강도를 고려하여 제작되고, 전부도재관은 도재만을 이용하여 치아의 전부를 덮는 금관이다. 도재 라미네이트 베니아는 전치의 모양과 색을 개선하기 위하여 치아의 순면을 최소한으로 삭제하여 얇은 도재판을 만든 후 치아에 접착하는 것이다. collarless crown은 금속도재관의 순측 metal collar를 도재로 만들어 치경부 치은 부위의 심미성을 개선한 치관을 말한다.
현대사회에서는 보철의 목적 중 외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심미성이 차지하는 비중이 날로 커지고 있다.
심미보철은 환자의 요구와 만족도가 지극히 주관적일 수 있기 때문에 환자에 대한 세심한 배려와 미적 감각이 필요한 분야이다.
가공의치 : 가공의치란 1개 이상의 치아가 상실된 경우 그 상실치 양쪽의 건강한 치아에 금관을 제작하고 인공치를 연속형으로 연결한 보철물로 2개 이상의 지대장치와 1개 이상의 가공치를 갖고 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최소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지대장치는 가공의치에 부착된 지대치 부위에 세워진 수복물이며 가공치는 결손된 치아의 인공 대체물이다. 연결부는 보철물의 개개단위 또는 가공치를 연결해 주는 고정성 보철물의 일부분을 말한다. 가공의치는 고정성, 반고정성이 있으며 그 밖에 레진접착 가공의치가 있다.
-가철성 보철물
국소의치 : 국소의치는 다수의 치아를 상실하거나 후방에 지대치가 없는 부분 무치악 환자에게 적용하는 가철성 보철물로 잔존 구강 조직을 가능한 한 건강한 상태로 수복 보전하여 저작, 발음 등의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시킨다. 국소의치는 인공치아, 지대장치, 의치상, 연결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부분상 의치라고도 한다.
잔존 치아가 많은 경우 국소의치를 유지와 지지는 잔존 치아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고, 잔존 치아가 적은 경우는 대부분 치조제와 주위 조직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국소의치는 상실된 치아 수, 부위, 잔존 치아의 상태에 따라 의치의 모양과 크기 등이 달라지며 유지와 지지를 잔존 치아에 의존하기 때문에 총의치보다 안정적이며 우수하다.
국소의치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치아결손부의 치조제 흡수로 인해 의치상의 접합성이 저하되는 경우 의치상 이장 등의 적절한 조치를 시행한다. 최근에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가 적용되기도 한다.
총의치 : 총의치는 자연치아가 모두 상실된 무치악 환자에게 적용되는 가철성 보철물로 의치상과 인공치아로 구성되어 있다. 의치상은 인공치아가 심어지는 부분으로 조직과 접촉되며 치아 상실에 의해 나타나는 치조부의 퇴축을 보완하고, 침을 매개로 하여 의치를 구강 내에 유지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인공치아는 상실된 치아를 대신한다.
잘 제작된 의치의 사용은 저작과 발음, 심미성을 향상시키며 급격한 치조제의 흡수를 방지한다.
-치과 임플란트
치과 임플란트는 가공의치 제작 시 상실된 주변의 건강한 치아의 삭제를 꺼리거나 가철성 의치 사용을 주저하는 경우 고정성 보철물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저작능률을 높여주고 심리적 안정감을 도모한다.
치과 임플란트는 환자의 전신질환의 유무, 상실치아의 위치, 악골의 형태, 이용 가능한 골조직의 양과 질, 신경의 위치, 상악동의 위치, 구강 청결유지 능력, 경제적인 여건에 따라 다양한 임플란트 종류와 시술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시술 전 철저한 구강위생관리가 선행되어야 하며, 보통 1차 수술 후 3~6개월이 경과된 후 2차 수술을 거쳐 적합한 보철물이 제작된다.
-악안면 보철
악골의 결손을 수복하는 악보철과 구개부 결손을 수복하는 구개보철 및 안면부에 연장된 조직을 수복하는 안면보철이 시술되고 있다.
'치과위생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과보철학-총의치 (0) | 2023.02.17 |
---|---|
치과보철학-crown (0) | 2023.02.17 |
보존학-치아 경조직 질환 (0) | 2023.02.16 |
치주학-임플란트 (0) | 2023.02.16 |
치주학-치주질환 (0) | 2023.02.16 |
댓글